이효석문학상
이효석문화예술촌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효석문학상

2025 제26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이희주 「사과와 링고」
  • 1992년 서울 출생.
  • 2016년 장편소설 『환상통』으로 문학동네 대학소설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 2025년 젊은작가상 수상.
  • 대표작: 연작소설 『사랑의 세계』, 장편소설 『환상통』, 『성소년』, 『나의 천사』, 단편소설 『마유미』
2023 제24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안보윤 「애도의 방식」
  • 1981년 인천 출생. 명지대학교 사학과 졸업, 동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석사과정 수료.
  • 2005년 장편소설 『악어떼가 나왔다』로 제10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하며 등단.
  • 장편소설 『오즈의 닥터』로 제1회 자음과모음문학상, 단편소설 「완전한 사과」로 2021년 김승옥문학상 우수상 수상.
  • 대표작: 소설집 『소년7의 고백』, 『비교적 안녕한 당신의 하루』 중편소설 『알마의 숲』 장편소설 『밤의 행방』, 『사소한 문제들』, 『우선멈춤』, 『모르는 척』
※ 추가 인물 정보
  • 1980년 서울 출생.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2009년 『21세기문학』 신인상,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 수상: 제46회 한국일보문학상, 제25회 대산문학상, 제45회 이상문학상, 제4·5·6회 젊은작가상, 제3회 젊은작가상 대상.
  • 대표작: 소설집 『그들에게 린디합을』, 『우아한 밤과 고양이들』, 『사랑의 꿈』 장편소설 『디어 랄프 로렌』, 『작은동네』, 『사라진 숲의 아이들』 중편소설 『우연의 신』 짧은소설집 『맨해튼의 반딧불이』 산문집 『아무튼 미드』
2022 제23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김멜라 「제 꿈 꾸세요」
  • 198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14년 [자음과모음] 신인문학상을 통해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 소설집 『적어도 두 번』, 『공공연한 고양이』 등이 있다. 『소설 보다:봄2021』을 함께 썼다.
  • 2021 제12회 젊은작가상』을 수상했다.
2021 제22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이서수「미조의 시대」
  • 198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14년 단편소설 〈구제, 빈티지 혹은 구원〉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 《당신의 4분 33초》 《헬프 미 시스터》 《몸과 여자들》 《엄마를 절에 버리러》 등을 출간했다.
  • 황산벌청년문학상, 젊은작가상을 수상했다.
2020 제21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최 윤「소유의 문법」
  • 1953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프로방스 대학교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 1988년 계간 『문학과사회』에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를 발표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 이후 다수의 소설집과 장편소설을 출간했으며, 최근에는 소설집 『동행』(2020), 장편소설 『파랑대문』(2019), 산문집 『사막아, 사슴아』(2023)를 펴냈다.
  • 1992년 「회색 눈사람」으로 동인문학상을, 1994년 「하나코는 없다」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2019 제20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장은진「외진 곳」
  • 1976년 광주에서 태어나 전남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였다.
  • 2002년 [전남일보] 신춘문예에「동굴 속의 두 여자」가, 2004년 [중앙일보] 신인문학상에 「키친 실험실」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 2007년 등단한 동생 김희진씨와는 ‘쌍둥이 자매 소설가’이다. 소설집 『키친 실험실』, 『빈집을 두드리다』, 『당신의 외진 곳』, 장편소설 『앨리스의 생활방식』, 『아무도 편지하지 않다』, 『그녀의 집은 어디인가』, 『날짜 없음』, 『날씨와 사랑』 등이 있다.
  • 2009년 문학동네작가상을 수상했다.
2018 제19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권여선「모르는 영역」
  • 1996년 장편소설「푸르른 틈새」로 등단.
  • 소설집「처녀치마」,「내 정원의 붉은 열매」,「비자나무 숲」,「안녕 주정뱅이」, 장편소설「레가토」,「토우의 집」등이 있다.
  • 이상문학상, 오영수문학상, 한국일보문학상, 동리 문학상을 수상했다.

2017 제18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강영숙(어른의 맛)  

  • 춘천에서 태어나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1998년 <서울신문> 신문문예에 단편<8월의 식가>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 소설집<흔들리다><날마다축제><빨강 속의 검정에 대하여><아령 하는 밤><회색문헌>, 장편소설<리나><라이팅 클럽><슬프고 유쾌한 텔레토비 소녀>가 있다.
  • 한국일보문학상, 백신애문학상, 김유정 문학상을 수상했다.
2016 제17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조해진「산책자의 행복」
  • 2004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에 중편소설 「여자에게 길을 묻다」가 당선되며 등단했다.
  • 소설집 『천사들의 도시』 『목요일에 만나요』, 장편소설 『로기완을 만났다』 『아무도 보지 못한 숲』 『여름을 지나가다』등이 있다 신동엽문학상, 문학동네젊은작가상, 무영문학상 등 수상했다.
2015 제16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전성태「두 번의 자화상」
  • 1994년 『실천문학』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 소설집 『두번의 자화상』,『늑대』,『국경을 넘는 일』,『매향(埋香)』, 장편소설 『여자 이발사』, 산문집『세상의 큰형들』등이 있다.
  • 신동엽문학상, 무영문학상, 채만식문학상, 오영수문학상, 현대문학상을 받았다.
2014 제15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황정은「누가」
  • 200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단편소설 등단했다. 단편집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 <파씨의 입문>,장편소설 <야만적인 앨리스씨> <百의 그림자>이 있다. 한국일보문학상, 신동엽문학상 수상했다.
2013 제14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윤성희「이틀」
  • 199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레고로 만든 집》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 소설집 《레고로 만든 집》 《거기, 당신?》 《감기》 《웃는 동안》, 장편소설 《구경꾼들》이 있다. 현대문학상, 이수문학상, 올해의 예술상을 수상했다.
2012 제13회이효석문학상 수상자 : 김중혁 단편소설 「요요」
  • 2000년 <문학과사회>에 중편소설 <펭귄뉴스>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 소설집 <펭귄뉴스> <악기들의 도서관> <1F/B1, 일층, 지하 일층>과 장편소설 <좀비들> <미스터 모노레일>, 산문집 <대책없이 해피엔딩>(공저) <뭐라도 되겠지>가 있다.김유정문학상, 젊은 작가상, 올해의 젊은 예술가상 등을 수상했다.
2011 제12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윤고은 : 「해마, 날다」(《세계의문학》
  • 198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04년 제2회 대산대학문학상, 2008년 제13회 한겨레문학상을 받았다. 작품으로 장편소설 <무중력증후군>, 소설집 <1인용 식탁>이 있다.
2010 제11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이기호: 「밀수록 다시 가까워지는
  • 1972년 강원 원주에서 태어났으며, 추계예대 문예창작과, 명지대 문예창작과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 1999년 월간『현대문학』신인추천공모에 단편 「버니」가 당선돼 문단에 나왔으며, 소설집으로 『최순덕성령충만기』『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장편소설로 『사과는 잘해요』가 있다.
  • 현재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2009 제10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편혜영/ 토끼의 묘
  •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예전 문예창작과와 한양대 국문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이슬털기>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으며, 소설집으로 <<아오이가든>>,<<사육장 쪽으로>>, 테마소설집 <서울, 어느날 소설이 되다>가 있다.
  • 2007년 <<사육장 쪽으로>>로 한국일보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08 제9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김애란<<칼자국>>
  • 1980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산에서 자랐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극작과를 졸업했다.
  • 2002년 제 1회 대산대학문학상에 <노크하지 않는 집>이 당선돼 문단에 나왔으며 소설집으로 <달려라, 아비> <침이 고인다>가 있다.
  • 2005년 한국일보문학상 수상, 2008년 <칼자국>으로 이효석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07 제8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박민규 누런 강 배 한척
  • 1968년 출생.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졸업 2003년 <지구영웅전설>로 문학동네 작가상 수상 2003년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으로 한겨레문학상 수상 2005년 소설집 <카스테라>로 신동엽 창작상 수상
2006 제7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정지아<<풍경>>
  • 1965년 전남 구례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와 같은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 1990년 실천문학에서 장편 『빨치산의 딸』을 출간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며, 1996년 단편 「고욤나무」로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
  • 소설집으로 『행복』이 있다. 2006년 제7회 이효석문학상을 수상했다.
2005 제6회 이효석문학상수상자 구효석-소금 가마니
  • 1958년 9월 25일, 인천광역시학력목원대학교 국어교육 학사데뷔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소설 '마디' 등단수상2014년 제45회 동인문학상 2013년 제2회 EBS 라디오 문학상 우수상 2008년 제16회 대산문학상 소설부문경력1987 문학사상
2004 제5회 이효석문학상수상자 정이현- 타인의 고독
  • 1972년, 서울특별시학력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데뷔2002년 소설 '낭만적 사랑과 사회'수상2006년 제51회 현대문학상 2004년 제5회 이효석문학상 2002년 제1회 문학과 사회 신인문학상경력2012.08 제6회 대단한 단편영화제 심사위원
2003 제4회 이효석문학상수상자 윤대녕 -질레꽃 기념관
  • 1962년 5월 1일, 충청남도 예산소속 동덕여자대학교(교수)학력단국대학교 불어불문학 학사데뷔1990년 문학사상 등단수상2007년 제1회 김유정문학상 2003년 제4회 이효석문학상경력동덕여자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2002 제3회 이효석문학상수상자 이혜경 -꽃그늘 아래
  • 출생1960년, 충청남도 보령 데뷔1982년 소설 '우리들의 떨켜'
2001 제2호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성석제<<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 1960년 7월 5일, 경상북도 상주학력연세대학교 법학 학사데뷔1986년 문학사상 '유리닦는 사람' 등단수상2015년 제12회 채만식 문학상
  • 2014년 제31회 요산문학상
  • 2005년 제13회 오영수문학상
2000 제1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이순원-아비의 잠
  • 1988년 문학사상 '낮달' 등단수상2016년 제19회 동리문학상
  • 2016년 제5회 녹색문학상
  • 2006년 제2회 남촌문학상 소설부문
  • 2000년 제1회 효석문학상경력2000 한국일보 총선보도자문위원회 자문위원
관련기관
정지    이전    다음